Switch(config)#hostname SW1 ==> Host name 지정
SW1(config)#enable password ecs123 ==> 비번 지정
SW1(config)#line vty 0 4 ==> telnet 설정
SW1(config-line)#password ecs123 ==> telnet 비번 지정
SW1(config-line)#exit
SW1(config)#end
SW1(config)#line console 0 ==> 콘솔 모드 설정
SW1(config-line)#password ecs123 ==> 콘솔 비번 설정
SW1(config-line)#exit
SW1(config)#end
SW1(config)# vlan 10 ==> vlan 10 설정
SW1(config-vlan)# vlan 20 ==> vlan 20 설정
<-- L3 -->
SW1(config)# interface vlan 10 ==> vlan 10번에 대한 interface를 지정함
SW1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0.2 255.255.255.0 ==> vlan 10번에 대한 IP 지정
SW1(config-if)# no shutdown
SW1(config)# ip routing ==> ip routing을 반드시 설정해야 함 (L3)
SW1(config)#interface f0/1 ==> port 0/1 해당 포트의 interface를 설정
SW1(config-if)#swi trunk encapsulation dot1q ==> 캡슐화 한다???
SW1(config-if)#switchport mode trunk ==> trunk를 설정한다.
SW1(config-if)#switch trunk allowed vlan 10,20 ==> vlan 10,20번에 대하여 모두 허용하겠다는 의미
--------L3 1번 스위치와 L3 2번 스위치를 f0/3번 포트를 이용하여 trunk를 묶는 과장 (Etherchannel을 설정)
-------- 대역폭을 증대하여 통신 효율을 더욱 증가 시키기 위함
SW1(config)#interface f0/3 ==> interface 0/3번 설정
SW1(config-if)#swi trunk encapsulation dot1q ==> 캡슐화 실시
SW1(config-if)#switchport mode trunk ==> trunk
SW1(config-if)#channel-group 1 mode on ==> 이 명령어 실행시 channel-port 생성 됨
SW1(config)#interface port-channel 1 ==> interface port-channel 1 설정
SW1(config-if)#switchport mode trunk ==> trunk 설정
SW1(config)#spanning-tree vlan 10 priority 4096 ==> spanning-tree 설정 priotity로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block vlan을 설정 한다
SW1(config)#spanning-tree vlan 20 priority 8192
SW1(config)#
==> HSRP설정을 위한 가상 IP를 할당한다
==> L3가 2대로 2중화 구현을 할 경우 물리적으로 L3가 3대이지만 논리적으로 IP를 할당하여 2대를 1대로 생각하게 만듬
SW1(config)#interface vlan 10
SW1(config-if)#standby 10 ip 192.168.10.1
SW1(config-if)#standby 10 priority 150 ==> default 100 보다 높은 priority를 주어서 Active를 설정한다.
SW1(config-if)#standby 10 preempt ==> preempt 설정을 통하여 active standby를 저절로 할 수 있도록 함
SW1(config)#interface vlan 20
SW1(config-if)#standby 10 ip 192.168.20.1 ==> vlan 20번에 대한 논리적인 IP도 지정해야 함
SW1(config-if)#standby 10 preempt ==> preempt 설정을 통하여 active standby를 저절로 할 수 있도록 함
<-- L2 -->
SW1(config)# interface vlan 10 ==> vlan 10번에 대한 interface를 지정함
SW1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0.2 255.255.255.0 ==> vlan 10번에 대한 IP 지정
SW1(config-if)# no shutdown
SW1(config)# ip default-gateway 192.168.10.1 ==> 상단 L3의 Router IP를 지정해야 함
==> L2 스위치가 L3로 연결을 하기 위한 uplink port를 지정한다. (백본 업링크 연결용)
SW1(config)# interface f0/1 ==> f0/1 port를 설정 하겠다
SW1(config-if)# switchport mode trunk ==> trunk 로 설정
SW1(config-if)# swtich trunk allowed vlan 10,20 ==> vlan 10,20에 대해서 모두 허용하겠다는 의미
SW1(config)# interface f0/3 ==> f0/1 port를 설정 하겠다
SW1(config-if)# switchport mode access ==> 해당 port에 대한 접근 권한 설정
SW1(config-if)# switchport access vlan 10 ==> 해당 port에 대한 접근 vlan 설정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switch 확인 명령어 정리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. erase startup-config ==> switch 초기화 명령어
2. reload ==> reboot 시키기
3. show vlan brief ==> 생성된 vlan 정보를 확인
4. show running-config interface vlan 10 ==> 현재 구성된 vlan 정보 확인
5. show run interface f0/1 ==> 구성된 port설정을 확인
6. show interface trunk ==> trunk 구성된 내용을 확인 함
7. show interface etherchannel ==> etherchannel을 구성한 port 확인
8. show spanning-tree valn 10 summary ==> spanning-tree vlan별 현황을 확인 함
9. show standby brief ==> L3에서 Active Standby에 대한 변화 값을 확인 할 수 있음
10 show cdp neighbors ==> 현재 물려있는 스위치의 port가 어떤 놈이 붙어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.
sw4#show cdp neighbors
Capability Codes: R - Router, T - Trans Bridge, B - Source Route Bridge
S - Switch, H - Host, I - IGMP, r - Repeater, P - Phone
Device ID Local Intrfce Holdtme Capability Platform Port ID
SW1 Fas 0/1 173 R S I WS-C3560-2Fas 0/2
SW2 Fas 0/2 169 R S I WS-C3560-2Fas 0/2
SEPDC7B94772707 Fas 0/4 172 H P Cisco IP PPort 1
sw4#
'Cisco > V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VB] 기능 (0) | 2016.08.09 |
---|---|
해외 회선 (0) | 2016.07.19 |
VG 파일 ftp 이용하기 (0) | 2016.07.11 |
유용한 config 정보 (0) | 2016.04.28 |
PSTN과 SIP의 관계 설정 (0) | 2016.02.16 |